
"청년 지원 정책 많다는데 뭐부터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..." 작년에 저도 이랬거든요. 그런데 하나씩 알아보고 신청하니까 1년 만에 1천만원 넘게 혜택 받았어요!
오늘은 2025년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정책들을 정리해드릴게요. 이거 몰라서 못 받으면 진짜 억울해요!
📌 핵심 요약
꼭 신청해야 할 TOP 5:
- 청년도약계좌 (5년 최대 5천만원)
-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(청약 + 적금)
- 청년내일채움공제 (3년 1,200만원)
- 청년 월세 지원 (월 20만원, 12개월)
- 청년 일자리도약장려금 (최대 960만원)
연령별 체크:
- 19-34세: 청년도약계좌, 월세 지원
- 취업 준비생: 취업성공패키지
- 재직자: 청년내일채움공제
- 무주택자: 청년 주택청약
소득 요건 (대부분):
- 중위소득 180% 이하
- 연소득 7,500만원 이하 → 대부분 청년이 해당!
💰 돈 모으기 정책
1. 청년도약계좌 ⭐⭐⭐⭐⭐

이게 뭔가요? 정부가 돈 더해줘서 모아주는 적금!
혜택:
- 본인 저축: 월 70만원 (5년)
- 정부 지원: 월 최대 24만원
- 5년 후: 최대 5,000만원!
- 비과세 (이자 세금 0원)
가입 조건:
- 나이: 만 19-34세 (군복무 최대 6년 추가)
- 소득: 개인소득 6,000만원 이하
- 가구소득: 중위소득 180% 이하
- 직전 3년 내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 제외
정부 지원금 (소득별):
개인소득 2,400만원 이하:
→ 월 24만원 지원 (연 288만원)
2,400~3,600만원:
→ 월 20만원 지원
3,600~4,800만원:
→ 월 15만원 지원
4,800~6,000만원:
→ 월 10만원 지원
실제 계산: 월 70만원 × 60개월 = 4,200만원 정부 지원 (최대) = 1,440만원 이자 (약 3%) = 약 360만원 총 약 6,000만원!
신청 방법:
- 토스, 카카오뱅크 등 앱
- 신분증, 소득 증빙
- 5분 안에 완료
- 매월 자동이체 설정
주의사항:
- 중도 해지 시 정부 지원금 반환
- 5년 유지해야 혜택 최대
- 가입 기간: 상시 (선착순 아님)
제 후기: 작년 3월에 가입했는데 벌써 정부에서 200만원 넣어줬어요. 5년 뒤가 기대됩니다!
2.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

이게 뭔가요? 주택청약 + 적금 + 세금혜택 한 번에!
혜택:
- 주택청약 1순위 조건 충족
- 이자소득 비과세 (연 500만원 한도)
- 소득공제 연 300만원 (최대 40%)
- 우대금리 연 4.5% (은행별 상이)
가입 조건:
- 나이: 만 19-34세 (군복무 기간 추가)
- 무주택 세대주
- 연소득 3,000만원 이하 (우대형)
- 연소득 5,000만원 이하 (일반형)
납입 금액:
- 월 2만원 ~ 50만원
- 자유롭게 조절 가능
청약 점수 올리기:
- 24개월 이상 납입
- 월 10만원 이상 권장
- 인정 점수: 최대 17점
어디서 가입?
- 국민은행, 우리은행, 농협 등
- 은행 앱으로 비대면 가입
- 기존 청약통장 전환 가능
꿀팁:
- 무주택 세대주 아니어도 가입 가능
- 나중에 세대주 되면 전환
- 우대형 금리가 2배 높음
3. 청년내일채움공제

이게 뭔가요? 중소기업 다니면 정부+회사가 돈 모아줌!
혜택 (2년형):
- 본인: 월 12.5만원 (300만원)
- 기업: 월 20만원 (480만원)
- 정부: 월 20만원 (480만원)
- 2년 후: 1,260만원!
혜택 (3년형):
- 본인: 월 16.7만원 (600만원)
- 기업: 월 16.7만원 (600만원)
- 정부: 월 16.7만원 (600만원)
- 3년 후: 1,800만원!
가입 조건:
- 나이: 만 15-34세
- 중소·중견기업 정규직
- 고졸 이하 or 대졸 미취업자
- 재직 기간 6개월 이내
- 월급 300만원 미만
신청 방법:
- 회사가 참여 기업인지 확인
- 입사 후 6개월 이내 신청
- 회사 인사팀에 문의
- 온라인 신청 (www.sbcplan.or.kr)
중도 해지:
- 정당한 사유 (이직, 학업 등) → 일부 인정
- 개인 사유 → 본인 적립금만
제 친구 사례: 제조업체 다니는 친구가 3년 채우고 1,800만원 받았어요. 결혼 자금으로 썼다고 하더라고요!
🏠 주거 지원 정책
4. 청년 월세 지원 (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)
이게 뭔가요? 월세 일부를 정부가 지원!
혜택:
- 월 20만원 지원
- 12개월 (총 240만원)
- 실제 월세에서 차감
가입 조건:
- 나이: 만 19-34세 (미혼)
- 소득: 중위소득 60% 이하 (1인 가구 약 130만원)
- 무주택자
- 보증금 5,000만원 이하
- 월세 70만원 이하
소득 기준 (2025년):
1인 가구: 월 소득 약 130만원 이하
2인 가구: 월 소득 약 215만원 이하
3인 가구: 월 소득 약 276만원 이하
신청 방법:
- 복지로 웹사이트 (www.bokjiro.go.kr)
- 온라인 신청
- 서류 제출 (임대차계약서, 소득증명)
- 심사 후 지급 (약 1개월)
지급 방식:
- 본인 계좌로 입금
- 월세 납부 후 환급
- 매월 자동 지급
주의사항:
- 부모님과 거주 시 가구 소득 기준 적용
- 독립 거주 필수 확인
- 전세는 지원 안 됨
5. 청년 전세대출 (버팀목 전세자금)
이게 뭔가요? 저금리로 전세 보증금 빌려줌!
혜택:
- 대출 한도: 최대 2억원
- 금리: 연 1.8-2.4% (소득별)
- 대출 기간: 2년 (연장 가능)
- 보증료 지원
가입 조건:
- 나이: 만 19-34세
- 무주택자
- 연소득 5,000만원 이하 (부부 7,000만원)
- 순자산 3.45억원 이하
- 전용면적 85㎡ 이하
- 보증금 3억원 이하 (수도권 4억)
금리 우대:
연소득 2,000만원 이하:
→ 1.8%
2,000~4,000만원:
→ 2.1%
4,000~5,000만원:
→ 2.4%
신청 방법:
- 은행 방문 or 앱
- 서류 제출 (계약서, 소득증명)
- 주택도시보증공사 보증
- 대출 실행
장점:
- 시중 은행보다 1-2% 낮음
- 중도상환 수수료 없음
- 2년마다 연장 가능 (최대 10년)
6. 청년 전용 임대주택
이게 뭔가요? 저렴한 가격에 새 아파트 입주!
종류:
행복주택:
- 시세의 60-80%
- 신혼부부, 대학생, 청년 우선
- 최장 6-10년 거주
매입임대:
- 시세의 30-50%
- 기존 주택 매입 후 임대
- 최장 20년 거주
건설임대:
- 시세의 50-70%
- 신축 아파트
- 최장 30년 거주
신청 자격:
- 나이: 만 19-39세
- 무주택자
- 소득/자산 기준 충족
- LH, SH 등 공사 발표 시 신청
신청 방법:
- LH 청약센터 (apply.lh.or.kr)
- 공고 확인
- 온라인 신청
- 추첨 or 순위
꿀팁:
- 가점이 높을수록 유리
- 무주택 기간 중요
- 청약통장 가입 필수
💼 취업·일자리 정책
7. 청년 일자리도약장려금
이게 뭔가요? 중소기업이 청년 고용하면 정부가 회사에 지원 → 간접 혜택!
혜택 (회사가 받지만 청년에게 유리):
- 회사가 월 80만원 × 12개월 받음
- 청년 채용 확대
- 더 나은 처우
조건:
- 나이: 만 15-34세
- 중소·중견기업 정규직
- 5인 이상 기업
청년 입장 장점:
- 채용 기회 증가
- 정규직 전환 유리
- 회사 부담 감소 → 급여 협상 여지
확인 방법: 면접 때 "청년 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하시나요?" 물어보기!
8. 국민취업지원제도 (취업성공패키지)
이게 뭔가요? 취업 준비하면 돈도 주고 교육도 지원!
혜택:
- 구직촉진수당: 월 50만원 (6개월)
- 취업 성공 시: 최대 150만원
- 직업훈련 지원
- 취업 알선
유형:
I유형 (저소득층):
- 중위소득 60% 이하
- 구직촉진수당 지급
II유형 (청년):
- 만 18-34세
- 소득 무관
- 취업 지원만 (수당 없음)
신청 자격 (I유형):
- 15-69세
- 중위소득 60% 이하
- 재산 4억원 이하
- 최근 2년 내 100일 이상 고용보험 가입 이력
신청 방법:
- 워크넷 (www.work.go.kr)
- 온라인 신청
- 고용센터 상담
- 취업활동계획 수립
활동 내용:
- 직업훈련 (온라인/오프라인)
- 일경험 프로그램
- 창업 지원
- 취업 알선
제 후기: 취준 시절에 I유형으로 300만원 받았어요. 훈련도 받고 취업도 했습니다!
9. 청년디지털일자리
이게 뭔가요? 디지털 분야 경험 쌓으면서 월급 받기!
혜택:
- 월 200만원 (6개월)
- 디지털 직무 경험
- 정규직 전환 가능성
참여 분야:
- 데이터 라벨링
- 웹 개발
- 앱 개발
- 마케팅
- 디자인
조건:
- 나이: 만 15-34세
- 미취업자
- 학력 무관
신청:
- 온라인 플랫폼 (기업별 상이)
- 수시 모집
🎓 교육·역량 정책
10. 내일배움카드
이게 뭔가요? 직업훈련 비용 정부가 대신 내줌!
혜택:
- 훈련비 지원: 최대 500만원 (5년)
- 훈련장려금: 월 11.6만원
- 다양한 강좌 (IT, 디자인, 제조 등)
조건:
- 나이: 15세 이상
- 재직자, 구직자 모두 가능
- 공무원, 사학연금 가입자 제외
신청 방법:
- 고용24 (www.hrd.go.kr)
- 온라인 신청
- 카드 발급
- 훈련과정 선택
인기 과정:
- 코딩 부트캠프
- 디지털 마케팅
- 웹 디자인
- 영상 편집
- 회계·세무
11. 청년 해외진출 지원
K-Move 스쿨:
- 해외 취업 준비 교육
- 어학, 직무교육 지원
- 항공료, 체재비 지원
해외 인턴십:
- 3-12개월
- 월 100-200만원 지원
- 정규직 전환 기회
🏥 생활·복지 정책
12. 청년 건강검진
국가건강검진:
- 직장인: 2년마다 무료
- 지역가입자: 2년마다 무료
추가 혜택:
- 암 검진 (만 40세 이상)
- 구강검진
- 영유아 검진
13. 통신비 지원
청년 통신비:
- 월 2.75만원 (1년)
- 기초생활수급자
- 차상위계층
📱 청년 정책 확인 사이트
올인원 플랫폼
청년정책 포털 (youth.go.kr):
- 모든 청년 정책 한눈에
- 맞춤형 정책 추천
- 온라인 신청 링크
복지로 (bokjiro.go.kr):
- 복지 정책 통합
- 모의 계산
- 신청 현황 조회
정부24 (www.gov.kr):
- 정부 서비스 통합
- 민원 신청
- 증명서 발급
💡 놓치기 쉬운 팁
중복 신청 가능한 것
동시 신청 OK:
- 청년도약계좌 + 청년 주택청약
- 청년내일채움공제 + 국민취업지원제도
- 월세 지원 + 전세대출
중복 불가:
- 청년도약계좌 + 일부 저축 상품
- 복지 수당 중복 수령
신청 타이밍
빨리 신청할수록 유리:
- 청년도약계좌 (5년이니까 빨리!)
- 청년 주택청약 (납입 기간 중요)
- 청년내일채움공제 (입사 6개월 이내)
기한 있음:
- 월세 지원 (매년 예산 소진 시 마감)
- 일자리 장려금 (기업별 상이)
소득 기준 애매할 때
팁:
- 중위소득 180%: 1인 가구 약 390만원/월
- 부모님과 거주 시 세대 소득 합산
- 독립 거주 시 본인 소득만
확인 방법:
- 복지로 모의계산
- 주민센터 상담
- 1577-1000 (복지 콜센터)
📋 연령별 맞춤 전략
만 19-24세 (대학생, 취준생)
우선순위:
- 청년도약계좌 (빨리 시작!)
- 청년 주택청약 (미리 준비)
- 내일배움카드 (스펙 쌓기)
- 국민취업지원제도 (취준 시)
예상 혜택:
- 5년 후: 청년도약 5,000만원
- 청약 자격 확보
- 직업 훈련 수료
만 25-29세 (사회 초년생)
우선순위:
- 청년도약계좌 (필수!)
- 청년내일채움공제 (중소기업 시)
- 월세 지원 (자취 시)
- 청년 전세대출 (독립 시)
예상 혜택:
- 청년도약 + 내일채움: 7,000만원
- 월세 지원: 240만원
- 전세대출: 저금리
만 30-34세 (경력직, 결혼 준비)
우선순위:
- 청년도약계좌 (마지막 기회!)
- 신혼부부 대출
- 청년 전용 임대주택
- 청년 주택청약 (무주택자)
예상 혜택:
- 결혼 자금 마련
- 주거 안정
- 내 집 마련 준비
🎯 최종 체크리스트
지금 당장 신청
- [ ] 청년도약계좌 (나이 확인!)
- [ ] 청년 주택청약 (무주택자)
- [ ] 청년내일채움공제 (재직자)
조건 확인 후 신청
- [ ] 월세 지원 (소득 기준)
- [ ] 전세대출 (독립 준비 시)
- [ ] 국민취업지원제도 (취준생)
나중에 필요할 때
- [ ] 청년 임대주택 (공고 시)
- [ ] 내일배움카드 (교육 필요 시)
- [ ] 해외진출 지원 (해외 취업 시)
💬 마무리하며
청년 정책, 생각보다 많죠?
핵심 3줄 요약:
- 청년도약계좌는 무조건! (5,000만원)
- 소득/나이 조건 꼭 확인! (대부분 해당)
- 신청 안 하면 손해! (주는 돈 안 받을 이유 없음)
저는 작년에:
- 청년도약계좌: 840만원 (정부 지원 120만원 포함)
- 월세 지원: 240만원
- 국민취업지원: 300만원 총 1,380만원 혜택!
여러분도 늦지 않았어요. 지금 바로 확인하고 신청하세요!
혹시 조건이 애매하면:
- 청년정책 포털 (youth.go.kr)
- 복지 콜센터 (1577-1000)
- 주민센터 방문
문의하면 친절하게 알려줍니다! 💪
최종 업데이트: 2025년 1월 6일
작성자: 진새우꽝
※ 면책조항: 본 글은 2025년 1월 기준 정보이며, 정책은 수시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. 신청 전 반드시 공식 홈페이지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🔗 함께 보면 좋은 글
📞 주요 연락처
청년정책 종합:
- 청년정책 포털: youth.go.kr
- 청년 콜센터: 1899-1004
고용·일자리:
- 고용24: www.hrd.go.kr
- 고용센터: 1350
주거:
- LH 청약센터: apply.lh.or.kr
- LH 콜센터: 1600-1004
복지:
- 복지로: bokjiro.go.kr
- 복지 콜센터: 1577-1000
금융:
- 청년도약계좌: 각 은행 앱
- 서민금융진흥원: 1397
'금융·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연말 쇼핑 후회 없이 하는 법 - 세일 시즌 똑똑한 소비 전략 (2025) (0) | 2025.11.06 |
|---|---|
| 연말 보너스 현명하게 쓰는 법 - 후회 없는 소비 가이드 (2025) (0) | 2025.11.06 |
| 직장인 세금 아끼는 법 - 연말정산 환급금 최대로 받기 (2025) (0) | 2025.11.06 |
| 2025 아파트 청약 당첨 전략 - 초보자도 이해하는 완벽 가이드 (0) | 2025.11.06 |
| 통신비 절약 완벽 가이드 - 월 2만원 아끼는 7가지 방법 (2025) (0) | 2025.11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