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"월급 200만원으로 돈 모을 수 있어?" 작년 초에 친구가 이렇게 물었을 때 저도 솔직히 회의적이었어요. 근데 작년 한 해 동안 진짜 1,050만원 모았어요!
오늘은 제가 어떻게 했는지, 구체적인 방법과 숫자 다 공개할게요. 저 할 수 있었으면 여러분도 할 수 있어요!
📌 핵심 요약
제 월급 구조 (실수령액 기준)
- 월급: 200만원
- 인센티브: 월 평균 20만원 (분기별)
- 실질 월평균: 약 220만원
1년 저축 목표와 결과
- 목표: 1,000만원
- 실제 달성: 1,050만원
- 달성률: 105%
저축 비율
- 월평균 저축: 87.5만원
- 저축률: 43.75%
- 생활비: 132.5만원
핵심 전략
- 자동이체로 강제 저축
- 고정비 최소화
- 변동비 주간 예산제
- 부수입 만들기
💰 1년 저축 흐름 (실제 내역)
월별 저축액 (실제 기록)
1-3월 (겨울)
- 1월: 50만원 (보너스 포함)
- 2월: 80만원 (설날 용돈)
- 3월: 90만원
- 합계: 220만원
4-6월 (봄)
- 4월: 70만원
- 5월: 85만원 (가정의 달 지출↑)
- 6월: 95만원
- 합계: 250만원
7-9월 (여름)
- 7월: 90만원
- 8월: 85만원 (휴가 지출)
- 9월: 95만원
- 합계: 270만원
10-12월 (가을/겨울)
- 10월: 100만원
- 11월: 95만원
- 12월: 115만원 (보너스 포함)
- 합계: 310만원
연간 총계: 1,050만원
🎯 구체적인 실천 방법
1단계: 자동이체 설정 (급여일 당일!)
제 자동이체 구조 (매월 25일 급여일)
25일 오전 (급여 들어오자마자)
- 청년도약계좌: 40만원
- 적금: 30만원
- 투자(ETF 자동매수): 10만원
- 총: 80만원 자동 빠져나감
25일 오후
- 월세 자동이체: 45만원
- 통신비: 3만원
- 보험: 5만원
- 구독료: 2만원 (넷플릭스, 유튜브)
- 총: 55만원
남은 금액: 220만원 - 135만원 = 85만원 이 85만원으로 한 달 살기!
2단계: 고정비 줄이기 (제 실제 방법)
월세 줄이기
- Before: 원룸 월세 55만원
- After: 셰어하우스 45만원
- 절약: 월 10만원 → 연 120만원!
솔직히 처음엔 셰어하우스 망설였어요. 근데 1년만 참자 하고 들어갔는데 생각보다 괜찮았어요. 룸메이트 좋은 사람 만나면 오히려 재밌어요.
통신비 줄이기
- Before: 대형 통신사 8만원
- After: 알뜰폰 3만원
- 절약: 월 5만원 → 연 60만원
속도 차이? 솔직히 잘 모르겠어요. 인스타, 유튜브 다 잘 돼요.
구독료 정리
- Before: 넷플릭스, 유튜브, 멜론, 쿠팡와우 = 월 3.5만원
- After: 넷플릭스, 유튜브만 = 월 2만원
- 절약: 월 1.5만원 → 연 18만원
멜론은 유튜브 뮤직으로, 쿠팡와우는 해지했어요. 생각보다 안 쓰더라고요.
총 고정비 절약: 연 198만원
3단계: 식비 관리 (제일 중요!)
식비 변화
- Before: 월 50만원 (하루 1.7만원)
- After: 월 30만원 (하루 1만원)
- 절약: 월 20만원 → 연 240만원!
구체적인 방법
아침 (월-금)
- 집에서 시리얼/토스트: 2천원
- 회사 근처 김밥천국: 3천원
- 평균: 주 5일 × 2.5천원 = 1.25만원
점심 (월-금)
- 회사 구내식당: 4천원
- 주 5일 × 4천원 = 2만원
저녁 (월-금)
- 집밥 (도시락 반찬): 5천원
- 배달/외식 (주 1-2회): 1.5만원
- 평균: 주당 4만원
주말
- 집밥 + 외식 1회: 주당 2만원
월 식비 계산:
- (1.25만 + 2만 + 4만) × 4주 = 29만원
- 주말: 2만 × 4주 = 8만원
- 총: 37만원 → 예산 30만원으로 조절
핵심 팁:
- 집 근처 반찬 가게 애용 (1만원에 3가지 반찬)
- 회사 구내식당 최대 활용
- 배달은 주 1회로 제한
- 편의점 안 가기 (진짜 중요!)
4단계: 변동비 주간 예산제
월 85만원 - 식비 30만원 = 55만원
이 55만원을 주간으로 나눠서 사용:
- 1주차: 12만원
- 2주차: 12만원
- 3주차: 12만원
- 4주차: 12만원
- 예비비: 7만원
주간 예산 사용처
- 교통비: 3만원
- 생활용품: 2만원
- 카페/간식: 3만원
- 여가/취미: 2만원
- 기타: 2만원
관리 방법:
- 매주 월요일 12만원 현금 인출
- 현금으로만 사용 (카드 안 씀)
- 남으면 저금통에 보관
- 부족하면 예비비 사용
이거 진짜 효과적이에요! 현금 쓰면 돈 나가는 게 눈에 보여서 아끼게 돼요.
5단계: 부수입 만들기
제가 한 부업들 (실제 수입)
당근마켓 판매
- 안 쓰는 물건 판매: 연 80만원
- 주로 옷, 책, 전자기기
- 팁: 깨끗하게 세탁해서 사진 잘 찍기
배달 아르바이트 (주말)
- 주 1회, 4시간: 월 20만원
- 연 240만원
- 솔직히 힘들지만 운동도 되고 돈도 벌고
중고 거래 (취미)
- 한정판 굿즈 사서 되팔기: 연 50만원
- 재밌어서 하는 거라 힘들지 않음
총 부수입: 연 370만원
이게 진짜 컸어요. 본업 200만원으로는 부족한데 부수입이 있으니까 여유 생겨요.
💡 제가 실천한 절약 꿀팁
1. 편의점 안 가기 챌린지
작년 1월부터 시작했어요. 편의점 한 번 가면 5천원은 기본이잖아요.
Before: 주 3-4회 × 5천원 = 월 8만원 After: 월 0원 절약: 연 96만원!
처음엔 힘들었는데 2주 지나니까 습관돼요. 간식은 마트에서 대용량으로 사고, 음료는 집에서 챙겨가고.
2. 1일 1만원 챌린지
평일에는 하루 1만원으로 살기!
구성:
- 교통비: 3천원
- 점심: 4천원
- 커피/간식: 3천원
회사 구내식당이 있어서 가능했어요. 없으면 도시락 싸가기!
3. 30일 챌린지
매달 1일부터 한 가지씩 도전:
- 1월: 배달 안 시키기
- 2월: 택시 안 타기
- 3월: 옷 안 사기
- 4월: 카페 안 가기
- ...
한 달만 참으면 되니까 할 만해요. 그리고 습관 들면 그냥 안 하게 돼요.
4. 무지출 데이
주중 2일은 무조건 무지출!
규칙:
- 교통비 빼고 0원 쓰기
- 점심은 도시락
- 저녁은 집밥
- 간식은 집에 있는 거
한 주에 2일만 해도 월 8만원 절약돼요.
5. 3일 대기 규칙
뭔가 사고 싶으면 3일 기다리기!
충동구매가 제일 돈 낭비더라고요. 3일 지나면 안 사고 싶어지는 거 많아요.
저는 이 규칙으로 연 100만원은 아낀 것 같아요.
⚠️ 실패했던 것들 (솔직 후기)
1. 너무 극단적 절약
1월에 하루 5천원으로 살기 도전했다가 3일 만에 포기했어요. 너무 배고프고 스트레스 받더라고요.
교훈: 무리하지 말고 지속 가능한 수준으로!
2. 친구 약속 다 거절
돈 아끼려고 친구 만남 다 거절했더니 관계가 소원해졌어요. 2월에 이러다가 안 되겠다 싶어서 월 2-3회는 꼭 만나기로 했어요.
교훈: 인간관계도 투자! 월 5-10만원은 쓰기!
3. 카드값 미납
자동이체 너무 많이 설정했다가 카드값 못 내고 연체... 연체료 5만원 날렸어요.
교훈: 여유 자금 10만원은 꼭 남겨두기!
4. 충동 투자
5월에 코인 한다고 100만원 넣었다가 50만원 날렸어요. 괜히 욕심 부렸어요.
교훈: 잘 모르는 투자는 하지 말기!
📊 월별 수입/지출 상세 (실제 데이터)
평균적인 한 달 (예시: 7월)
수입
- 본급: 200만원
- 배달 알바: 20만원
- 당근 판매: 5만원
- 총: 225만원
지출
- 저축/투자: 80만원
- 월세: 45만원
- 고정비: 10만원 (통신, 보험, 구독)
- 식비: 30만원
- 생활비: 20만원
- 교통비: 10만원
- 여가/교제비: 10만원
- 예비비: 5만원
- 총: 210만원
잔액: 15만원 → 추가 저축 or 다음 달 이월
🎓 1년 후 변화
통장 잔고
- 2024년 1월: 150만원
- 2024년 12월: 1,200만원
- 순 증가: 1,050만원
투자 포트폴리오
- 청년도약계좌: 480만원 (월 40만원 × 12개월)
- 적금: 360만원 (월 30만원 × 12개월)
- ETF: 130만원 (원금 120만원 + 수익 10만원)
- 예비금: 80만원
총: 1,050만원
삶의 질
- 스트레스: 줄어듦 (통장 보는 재미)
- 자신감: 올라감 (나도 할 수 있다!)
- 미래: 불안감 감소
솔직히 처음엔 힘들었는데 6개월 지나니까 재밌어지더라고요. 통장 불어나는 거 보면 뿌듯해요!
💬 자주 묻는 질문
Q1. 월급 200만원으로 진짜 가능해요? A. 가능해요! 저 했어요. 단, 몇 가지 조건 필요:
- 부모님 집 or 저렴한 집
- 빚 없음
- 회사 복지 (구내식당 등)
- 부수입 의지
Q2. 너무 힘들지 않나요? A. 처음 3개월이 제일 힘들어요. 그 후엔 습관돼요. 그리고 목표가 있으면 버텨져요!
Q3. 연애는 어떻게 해요? A. 솔직히 저는 작년에 안 했어요... 근데 연애하면서도 가능할 것 같아요. 집데이트, 저렴한 데이트 위주로 하면요.
Q4. 1,000만원 모아서 뭐 할 건가요? A. 2,000만원 더 모아서 전세 대출 받아 이사 갈 거예요! 월세 → 전세 가면 돈 더 모이잖아요.
Q5. 포기하고 싶을 때는요? A. 저도 많았어요. 그럴 때마다 통장 보면서 버텼어요. "여기까지 왔는데..." 하면서요.
✅ 오늘부터 실천할 것
이번 주
- [ ] 급여 자동이체 설정하기
- [ ] 월 예산 짜기
- [ ] 불필요한 구독 해지하기
이번 달
- [ ] 편의점 안 가기 챌린지 시작
- [ ] 주간 예산제 실천
- [ ] 부수입 아이템 찾기
3개월 후
- [ ] 250만원 모으기
- [ ] 소비 습관 점검
- [ ] 예산 조정
1년 후
- [ ] 1,000만원 달성!
- [ ] 다음 목표 설정
- [ ] 자축하기 🎉
🎓 마무리하며
월급 200만원으로 1,000만원 모으기, 불가능해 보이죠? 저도 작년엔 그렇게 생각했어요.
근데 하루하루 실천하다 보니 어느새 목표 달성했어요. 가장 중요한 건 시작하는 거예요.
완벽하게 할 필요 없어요. 한 달에 50만원만 모아도 1년이면 600만원이에요!
여러분도 할 수 있어요! 화이팅!
오늘의 액션: 급여 자동이체 설정하기!
궁금한 점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😊
'금융·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주식 초보 6개월 만에 수익률 30% 달성한 방법 - 실전 투자 후기 (0) | 2025.11.10 |
|---|---|
| 연말정산 200만원 돌려받은 비법 - 세금 폭탄 피하는 법 (2025) (0) | 2025.11.10 |
| 신용카드 혜택 100% 활용법 - 연 50만원 아낀 비법 (2025) (0) | 2025.11.10 |
| ETF 투자 입문 완벽 가이드 - 100만원으로 시작하는 법 (2025) (0) | 2025.11.10 |
| ISA 계좌 완벽 가이드 - 세금 200만원 아낀 비법 (2025 최신) (0) | 2025.11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