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"어느 은행 적금이 제일 좋아요?" 작년에 저도 이것저것 알아보다가 머리 아팠어요. 은행마다 금리도 다르고, 우대 조건도 복잡하고...
그래서 직접 정리했습니다! 2025년 1월 기준 주요 은행 적금 금리 완전 비교. 이 글 하나면 어디 가입할지 바로 결정 가능해요!
📌 핵심 요약
2025년 최고 금리 TOP 3:
- 토스뱅크 파킹통장형 적금: 4.5% (우대 포함)
- 카카오뱅크 26주 적금: 4.3% (우대 포함)
- 케이뱅크 코드K 적금: 4.2% (우대 포함)
시중은행 vs 인터넷은행:
- 시중은행: 3.0-3.5% (기본)
- 인터넷은행: 3.5-4.0% (기본)
- 차이: 약 0.5-1.0%p
월 50만원, 1년 적금 예상 이자:
- 금리 3.0%: 약 10만원
- 금리 4.0%: 약 13만원
- 금리 5.0%: 약 16만원
🏦 인터넷은행 (높은 금리)
1. 토스뱅크 ⭐⭐⭐⭐⭐
상품명: 토스뱅크 먼저 이자 받는 적금
기본 금리: 3.5%
최고 금리: 4.5% (우대 1.0%p)
우대 조건:
- 0.5%p: 토스 앱 3개월 이상 사용
- 0.3%p: 자동이체 3건 이상
- 0.2%p: 급여 이체
가입 조건:
- 가입 대상: 누구나
- 가입 한도: 월 300만원
- 가입 기간: 12개월
특징:
- ✅ 먼저 이자 받기 (복리 효과)
- ✅ 중도 인출 가능 (이자 삭감)
- ✅ 앱으로 간편 가입
- ❌ 우대 조건 까다로움
실제 계산 (월 50만원, 1년):
납입 총액: 600만원
기본 금리 3.5%: 약 11만원
우대 적용 4.5%: 약 14.5만원
세후 이자: 약 13만원
만기 수령액: 약 613만원
제 평가: ⭐⭐⭐⭐⭐
- 금리 최고
- 앱 편리
- 추천!
2. 카카오뱅크
상품명: 카카오뱅크 26주 적금
기본 금리: 3.3%
최고 금리: 4.3% (우대 1.0%p)
우대 조건:
- 0.5%p: 카카오페이 월 5만원 이상 사용
- 0.3%p: 카카오뱅크 급여 이체
- 0.2%p: 모임통장 활성화
가입 조건:
- 가입 대상: 만 19세 이상
- 가입 한도: 월 100만원
- 가입 기간: 6개월 (26주)
특징:
- ✅ 6개월 단기 (유연성)
- ✅ 카카오페이 연동 편리
- ✅ 우대 조건 쉬움
- ❌ 짧은 기간 (장기 불가)
실제 계산 (월 50만원, 6개월):
납입 총액: 300만원
기본 금리 3.3%: 약 2.7만원
우대 적용 4.3%: 약 3.5만원
세후 이자: 약 3.2만원
만기 수령액: 약 303.2만원
제 평가: ⭐⭐⭐⭐☆
- 단기 최적
- 우대 조건 쉬움
- 장기는 다른 것 추천
3. 케이뱅크
상품명: 코드K 청년 적금
기본 금리: 3.5%
최고 금리: 4.2% (우대 0.7%p)
우대 조건:
- 0.4%p: K뱅크 앱 월 3회 이상 이용
- 0.3%p: 급여 이체
가입 조건:
- 가입 대상: 만 19-34세 청년
- 가입 한도: 월 50만원
- 가입 기간: 12개월
특징:
- ✅ 청년 특화 (나이 제한)
- ✅ 우대 조건 간단
- ✅ 금리 준수
- ❌ 한도 낮음 (월 50만원)
실제 계산 (월 50만원, 1년):
납입 총액: 600만원
우대 적용 4.2%: 약 13.5만원
세후 이자: 약 12만원
만기 수령액: 약 612만원
제 평가: ⭐⭐⭐⭐☆
- 청년에게 최적
- 한도 제한 아쉬움
4. 뱅크샐러드
상품명: 뱅크샐러드 연이율 4% 적금
기본 금리: 4.0%
최고 금리: 4.0% (우대 없음)
가입 조건:
- 가입 대상: 뱅크샐러드 앱 사용자
- 가입 한도: 월 100만원
- 가입 기간: 12개월
특징:
- ✅ 우대 없이 4.0% (단순 명료)
- ✅ 별도 조건 없음
- ✅ 가계부 앱과 연동
- ❌ 앱 설치 필수
실제 계산 (월 50만원, 1년):
납입 총액: 600만원
금리 4.0%: 약 13만원
세후 이자: 약 11.5만원
만기 수령액: 약 611.5만원
제 평가: ⭐⭐⭐⭐☆
- 단순함 최고
- 우대 고민 싫은 분 추천
🏛️ 시중은행 (안정성)
5. 국민은행
상품명: KB Star 적금
기본 금리: 3.0%
최고 금리: 3.5% (우대 0.5%p)
우대 조건:
- 0.3%p: KB국민카드 실적 (월 30만원)
- 0.2%p: 급여 이체
가입 조건:
- 가입 대상: 누구나
- 가입 한도: 월 300만원
- 가입 기간: 12-36개월
특징:
- ✅ 안정성 (시중 1위)
- ✅ 오프라인 지점 많음
- ✅ 장기 가능 (3년)
- ❌ 금리 낮음
실제 계산 (월 50만원, 1년):
납입 총액: 600만원
우대 적용 3.5%: 약 11.5만원
세후 이자: 약 10만원
만기 수령액: 약 610만원
제 평가: ⭐⭐⭐☆☆
- 안정 지향 추천
- 금리는 아쉬움
6. 신한은행
상품명: 신한 S드림 적금
기본 금리: 3.1%
최고 금리: 3.6% (우대 0.5%p)
우대 조건:
- 0.3%p: 신한카드 실적
- 0.2%p: 신한 SOL 앱 거래
가입 조건:
- 가입 대상: 누구나
- 가입 한도: 월 300만원
- 가입 기간: 12-36개월
특징:
- ✅ SOL 앱 편리
- ✅ 비대면 가입 가능
- ❌ 금리 평범
실제 계산 (월 50만원, 1년):
납입 총액: 600만원
우대 적용 3.6%: 약 11.8만원
세후 이자: 약 10.5만원
만기 수령액: 약 610.5만원
제 평가: ⭐⭐⭐☆☆
- 국민은행과 비슷
- 큰 차이 없음
7. 하나은행
상품명: 하나 원큐 적금
기본 금리: 3.2%
최고 금리: 3.7% (우대 0.5%p)
우대 조건:
- 0.3%p: 하나카드 실적
- 0.2%p: 하나원큐 앱 이용
특징:
- ✅ 앱 UI 좋음
- ❌ 금리 평범
실제 계산 (월 50만원, 1년):
납입 총액: 600만원
우대 적용 3.7%: 약 12만원
세후 이자: 약 10.7만원
만기 수령액: 약 610.7만원
제 평가: ⭐⭐⭐☆☆
💎 특수은행 & 저축은행
8. 우체국
상품명: 우체국 정기적금
기본 금리: 3.3%
최고 금리: 3.3% (우대 없음)
특징:
- ✅ 전국 어디나 지점
- ✅ 국가 신용
- ✅ 어르신 선호
- ❌ 금리 낮음
- ❌ 우대 없음
제 평가: ⭐⭐⭐☆☆
- 보수적 성향에게 추천
- 젊은 층은 비추천
9. 저축은행
상품명: OK저축은행 슈퍼 적금
기본 금리: 4.5%
최고 금리: 5.0% (우대 0.5%p)
우대 조건:
- 0.5%p: 급여이체 or 자동이체
가입 조건:
- 예금자보호 5천만원까지
- 가입 한도: 월 200만원
특징:
- ✅ 금리 최고!
- ✅ 우대 조건 쉬움
- ⚠️ 예금자보호 한도 주의
- ⚠️ 안정성 낮음
실제 계산 (월 50만원, 1년):
납입 총액: 600만원
우대 적용 5.0%: 약 16만원
세후 이자: 약 14.3만원
만기 수령액: 약 614.3만원
제 평가: ⭐⭐⭐⭐☆
- 금리 최고
- 5천만원 이하만 가입
- 분산 투자 추천
📊 금리 비교표
은행 기본금리 최고금리 우대조건 가입한도 추천도
| 토스뱅크 | 3.5% | 4.5% | 까다로움 | 월 300만원 | ⭐⭐⭐⭐⭐ |
| 카카오뱅크 | 3.3% | 4.3% | 쉬움 | 월 100만원 | ⭐⭐⭐⭐ |
| 케이뱅크 | 3.5% | 4.2% | 보통 | 월 50만원 | ⭐⭐⭐⭐ |
| 뱅크샐러드 | 4.0% | 4.0% | 없음 | 월 100만원 | ⭐⭐⭐⭐ |
| 국민은행 | 3.0% | 3.5% | 보통 | 월 300만원 | ⭐⭐⭐ |
| 신한은행 | 3.1% | 3.6% | 보통 | 월 300만원 | ⭐⭐⭐ |
| 저축은행 | 4.5% | 5.0% | 쉬움 | 월 200만원 | ⭐⭐⭐⭐ |
💰 월 50만원 적금 시뮬레이션
1년 적금 (600만원 납입)
금리별 이자:
3.0%: 약 10만원 (세후 8.9만원)
3.5%: 약 11.5만원 (세후 10.2만원)
4.0%: 약 13만원 (세후 11.6만원)
4.5%: 약 14.5만원 (세후 12.9만원)
5.0%: 약 16만원 (세후 14.3만원)
금리 차이의 영향:
- 3.0% vs 5.0% = 약 5.4만원 차이
- 1년 기준 외식 2-3회 값!
3년 적금 (1,800만원 납입)
금리별 이자:
3.0%: 약 86만원 (세후 77만원)
4.0%: 약 115만원 (세후 103만원)
5.0%: 약 144만원 (세후 129만원)
금리 차이의 영향:
- 3.0% vs 5.0% = 약 52만원 차이
- 3년 기준 해외여행 1번 값!
🎯 상황별 추천
청년 (만 19-34세)
1순위: 케이뱅크 코드K 청년 적금
- 금리: 4.2%
- 청년 특화
- 우대 조건 쉬움
2순위: 토스뱅크
- 금리: 4.5%
- 최고 금리
- 우대 노력 필요
직장인 (급여 이체)
1순위: 토스뱅크
- 급여 이체 우대 0.2%p
- 자동이체 설정 쉬움
2순위: 카카오뱅크
- 카카오페이 사용 우대
- 일상 소비로 우대 달성
보수적 성향
1순위: 국민은행
- 안정성 최고
- 오프라인 지점 많음
- 금리는 낮지만 안심
2순위: 우체국
- 국가 신용
- 전국 지점
- 어르신 추천
고금리 추구
1순위: 저축은행 (5천만원 이하)
- 금리: 5.0%
- 예금자보호 범위 내
2순위: 토스뱅크
- 금리: 4.5%
- 안전성 + 금리
단기 (6개월)
1순위: 카카오뱅크 26주 적금
- 6개월 특화
- 금리 4.3%
2순위: 토스뱅크 (6개월 옵션)
- 금리 4.0%
장기 (3년)
1순위: 국민은행
- 3년 가능
- 안정성
2순위: 신한은행
- 3년 가능
- 앱 편리
💡 적금 선택 가이드
STEP 1: 목표 설정
질문:
- 얼마를 모을 건가요?
- 언제까지 모을 건가요?
- 중도 인출 가능성은?
예시:
- 1년에 600만원 (월 50만원)
- 여행 자금 or 비상금
- 중도 인출 불가
STEP 2: 우선순위
금리 우선: → 토스뱅크 or 저축은행
편의성 우선: → 카카오뱅크 or 케이뱅크
안정성 우선: → 국민은행 or 우체국
STEP 3: 우대 조건 확인
내가 할 수 있는 조건:
- [ ] 급여 이체 가능
- [ ] 카드 실적 가능 (월 30만원)
- [ ] 앱 이용 가능 (월 3회)
- [ ] 자동이체 설정 가능
조건 개수에 따라:
- 3개 이상: 토스뱅크 추천
- 1-2개: 카카오뱅크 추천
- 0개: 뱅크샐러드 추천
STEP 4: 분산 투자
추천 조합:
월 100만원 여유 시:
- 토스뱅크: 50만원 (고금리)
- 국민은행: 50만원 (안정성)
월 150만원 여유 시:
- 토스뱅크: 50만원
- 저축은행: 50만원 (고금리)
- 국민은행: 50만원 (안정성)
📱 가입 방법
인터넷은행 (비대면)
토스뱅크:
- 토스 앱 다운로드
- 회원가입 (5분)
- 적금 메뉴
- 상품 선택
- 금액/기간 설정
- 자동이체 설정
- 완료!
소요 시간: 10분
시중은행 (비대면)
국민은행:
- KB스타뱅킹 앱
- 로그인
- 적금 메뉴
- 상품 선택
- 비대면 인증 (신분증 촬영)
- 자동이체 설정
- 완료!
소요 시간: 15분
오프라인 (지점 방문)
준비물:
- 신분증
- 도장 or 사인
- 자동이체 통장
절차:
- 은행 방문
- 상담 (10분)
- 서류 작성
- 개설 완료
소요 시간: 30분
🔍 자주 묻는 질문
Q1. 중도 해지하면 어떻게 되나요?
답변:
기본 금리의 50-70%만 적용됩니다. 우대 금리는 대부분 소멸. 가급적 만기까지 유지 추천!
Q2. 세금은 얼마나 내나요?
답변:
이자소득세 15.4% 자동 공제 (소득세 14% + 지방세 1.4%)
예시:
- 이자 10만원
- 세금 1.54만원
- 실수령 8.46만원
Q3. 우대 조건 못 지키면?
답변:
기본 금리만 적용됩니다. 조건 지키는 달만 우대 적용 (월별 계산)
Q4. 여러 개 가입 가능한가요?
답변:
네! 은행별, 상품별 가능합니다. 분산 투자 추천!
Q5. 금리가 계속 바뀌나요?
답변:
가입 시 금리로 고정됩니다. 이후 금리 인상/인하 영향 없음.
Q6. 자동이체 날짜 변경 가능?
답변:
네, 앱에서 변경 가능합니다. 단, 납입 기한 내에만!
⚠️ 주의사항
1. 예금자보호
보호 범위:
- 은행당 1인 5천만원
- 원금 + 이자 합산
초과 시:
- 파산 시 손실 위험
- 분산 투자 필수
예시:
- A은행 적금 3천만원
- A은행 예금 3천만원
- 합계 6천만원 → 5천만원만 보호!
2. 중도 해지 손실
예시:
- 1년 적금 (금리 4%)
- 6개월 만에 중도 해지
- 기본 금리 50% 적용 (2%)
- 우대 금리 소멸
실제 손실:
- 예상 이자: 13만원
- 실제 이자: 3만원
- 손해: 10만원
3. 우대 조건 확인
실수 방지:
- 가입 전 확인서 읽기
- 조건 충족 가능 여부
- 월마다 체크
팁:
- 스마트폰 알림 설정
- 매월 1일 조건 확인
- 자동이체 미리 설정
📊 2025년 금리 전망
전문가 의견
한국은행 기준금리:
- 2024년 말: 3.25%
- 2025년 예상: 3.00-3.25%
- 추세: 동결 or 소폭 인하
적금 금리 전망:
- 현재: 3.0-4.5%
- 상반기: 유지 예상
- 하반기: 소폭 하락 가능 (0.2-0.5%p)
결론: → 지금이 가입 적기! → 금리 더 오르기 어려움 → 빨리 가입하는 게 유리
💬 마무리하며
제 선택:
- 토스뱅크: 월 50만원 (고금리)
- 국민은행: 월 30만원 (안정성)
- 저축은행: 월 20만원 (초고금리) → 총 월 100만원 적금
1년 후 예상:
- 납입: 1,200만원
- 이자: 약 50만원
- 총: 약 1,250만원
추천 조합:
보수형:
- 국민은행 70%
- 인터넷은행 30%
공격형:
- 인터넷은행 70%
- 저축은행 30%
균형형:
- 시중은행 50%
- 인터넷은행 50%
핵심은 "지금 시작"이에요!
고민만 하다가 1년 지나면 그 이자만큼 손해예요.
이 글 보시는 지금, 바로 가입하세요! 💪
최종 업데이트: 2025년 1월 6일
작성자: 진새우꽝
금리 기준일: 2025년 1월 6일
※ 면책조항: 금리는 은행별로 수시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. 가입 전 반드시 해당 은행 공식 홈페이지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🔗 함께 보면 좋은 글
📞 은행별 고객센터
인터넷은행:
- 토스뱅크: 1661-7654
- 카카오뱅크: 1599-3333
- 케이뱅크: 1522-1000
시중은행:
- 국민은행: 1588-9999
- 신한은행: 1599-8000
- 하나은행: 1599-1111
- 우리은행: 1588-5000
기타:
- 우체국: 1588-1300
- 저축은행: 개별 문의
'금융·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혼자 사는 사람 생활비 절약 - 월 30만원 아낀 10가지 방법 (실전 후기) (0) | 2025.11.07 |
|---|---|
| 2025년 청년 정책 총정리 - 청년도약계좌부터 주택청약까지 (놓치면 손해!) (0) | 2025.11.07 |
| 연말 쇼핑 후회 없이 하는 법 - 세일 시즌 똑똑한 소비 전략 (2025) (0) | 2025.11.06 |
| 연말 보너스 현명하게 쓰는 법 - 후회 없는 소비 가이드 (2025) (0) | 2025.11.06 |
| 직장인 세금 아끼는 법 - 연말정산 환급금 최대로 받기 (2025) (0) | 2025.11.06 |